연천군 미산면 유촌리
본래 마전군 동면 지역으로, 마을 중앙에 큰 버드나무가 있었다 하여 ‘유촌리'라 하였는데, 1914년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연천군 미산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해방이 되면서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 후인 1954년 11월 17일 「수복지구임시행정조치법」에 의거, 행정권이 수복되어 오늘에 이른다. 현재 1개의 행정리, 5개 반으로 이루어져 있다.
구촌말[具村] : 미산면사무소 동쪽에 있던 마을. 약 400년 전부터 능성 구씨(綾城具氏)가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다. 한국전쟁 이후 수복되어 현재의 면사무소 주위에 새로운 마을이 형성되면서 구씨들이 이 곳에 많이 거주하고 있다.
김촌말[金村] : 구촌말 옆에 있는 마을. ‘도룻말'이라고도 불리우며 안동 김씨(安東金氏)가 24대째 세거하는 곳이다.
남세미[木三洞, 木森洞] : 거물래봉 동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정씨들이 몇 집 살았던 곳이다.
다락말[樓洞] : 마전초등학교 서쪽에 있던 마을. 다락처럼 높은 산비탈에 집들이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함열 남궁씨들이 살았으나 지금은 모두 밭으로 변해 있다.
두개모듬[二川洞] : 다락말 북쪽에 있는 마을. 백석리의 독벼루개울과 왕징면 노동리에서 내려오는 개룽지개울이 이 마을 앞에서 합류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최근까지도 이 두 개울이 합쳐지면서 ‘가마웅댕이'라는 깊고 큰 소를 만들었는데, 지금은 매몰되어 옛모습을 찾아볼 수 없다.
두루갈이 : 태실 아래에 있는 마을. ‘태봉말'이라고도 부른다.
법흥동(法興洞) : 신호 묘 아래에 있는 마을. 평산 신씨(平山申氏)가 집성촌을 이룬다.
사거리(四巨里) : 미산면사무소 주위에 있는 마을. 네 갈래의 큰 길이 나 있다.
삼포동(蔘圃洞) : 영산 북쪽에 있던 마을. 인삼을 경작했던 삼포가 있어 지어진 이름으로, ‘삼밭골'이라고도 불리워진다. 300여년 전 이 곳에 정착한 여산 송씨(礪山宋氏)들이 한국전쟁 이전까지 집성촌을 이루었다고 하나, 지금은 농경지로 변해 있다.
작은장재울 : 꽃밭채 동쪽에 있던 마을. 노동리에 있는 큰장재울과 경계를 이룬다. 한국전쟁 전에는 공주 이씨(公州李氏)들이 마을을 이루었다.
지내울 : 이양 묘 아래에 있던 마을. 두리산에서 중들 방향으로 길게 뻗어내린 산의 형상이 지네와 닮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한자 표기로는 ‘진내동(眞乃洞)' 또는 ‘지내동(芝乃洞)'으로도 되어 있고, 한국전쟁 전에는 함평 이씨(咸平李氏)의 많이 거주하였다.
가는골[細谷] : 태봉 북쪽에 있는 좁고 가는 골짜기. 한국전쟁 전에는 광산 김씨가 몇 집 살았다
개건너등 : 중들 동쪽, 왕징면 무등리와 경계에 있는 산. 왕징면 노동리에서 내려오는 개룽지개울의 건너에 있다 하여 유래된 이름이다.
거물래봉 : 남세미와 풀무골 사이에 있는 봉우리. 높이 139m.
구네미고개[軍踰峴] : 달걀골에서 중들로 넘어가는 고개. 임진강을 사이에 두고서 백제*고구려*신라가 치열한 영토 분쟁을 할 때, 우정리 장대봉 산성에서 주둔하고 있던 군사들이 적은 숫자를 감추기 위해 우정리 여우고개에서 빈 곡식섬을 지게에 짊어지고 유촌리로 넘어와 이 고개를 지나는 전술로 적을 물러가게 했다. 그후 이 고개를 군사들이 넘어다닌 고개라 하여 ‘군네미고개'라 했던 것이 지금의 ‘구네미고개'로 음이 변했다 한다.
구리방골[丘吏房谷] : 미산면사무소 북쪽에 있는 골짜기. 마전군 당시 구씨(丘氏) 성을 가진 이방이 살았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지금도 이 곳에는 구씨의 묘가 많다고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전주 최씨(全州崔氏)들이 많이 살았던 곳이다.
꽃밭체 : 법흥동 북쪽에 있는 산. 봄이면 진달래, 철쭉꽃이 만개하여 온 산이 붉은 빛으로 장관을 이룬다 하여 불리워지는 이름이다.
꽹과리논, 꽹과리들 : 두개모듬 동쪽에 있던 천수답. 비가 많이 오면 유촌리 주민들이 꽹과리를 두들기며 공동으로 모내기를 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지금은 개룽지개울에 보를 막아 이 일대가 수리안전답으로 바뀌었다.
낡은터골 : 달걀골 서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예전에 도깨비가 자주 나타났다 하며, 현재 마전초등학교가 위치해 있다.
다래기들 : 다락말 앞에 있는 들.
달걀골 : 낡은터골 동쪽에 있는 골짜기. 예전에 달걀귀신이 많이 나타났던 곳이라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대추나무골 : 법흥동 남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예전에 대추나무가 많았다 한다.
덕배미들 : 미산면사무소 남쪽에 있는 들. 1,200평 넓이에 긴 모양을 한 덕배미가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둑배미들'로도 불리워지고 있다.
도당골, 도가니골 : 태실 뒤에 있는 작은 골짜기. 지형이 대장간에 있는 도가니의 형태라 한다.
뫼물논 : 다락말 앞에 있는 논. 옛날에는 물이 없는 한답이어서 벼농사를 짓지 못하고 메밀만 심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방아다리 : 두개모듬 아래에 있는 물레방앗간 터. 지금은 태봉말로 건너가는 다리가 있다.
방아다리 : 미산면사무소 동쪽, 물레방아가 있던 곳. 지금은 논으로 변하였다.
버드나무연못 : 김촌말 앞에 있는 연못. 유촌리의 유래가 되는 큰 버드나무가 있던 곳이었으나, 이 나무는 한국전쟁 직후에 베어 버렸다고 한다.
삼태봉 : 미산면사무소 북쪽에 있는 봉우리. 높이 109m.
솔터고개 : 다락말에서 백석리의 소라터로 넘어가는 고개.
쉰골 : 향교산 남쪽, 남세미에 있는 골짜기.
시루고개 : 우정리의 넙적바위로 통하는 고개. 유촌리의 진입로 역할을 한다. 일설에는 이 고개가 실처럼 가늘었다 하여 ‘실고개'로 불리우던 것이 ‘시루'로 음이 변한 것이라고도 한다.
양아네골 : 영산 남쪽에 있는 골짜기.
여우고개[狐峴] : 중들에서 왕징면 무등리로 넘어가는 고개. 큰여우고개, 작은여우고개로 나뉘어진다. 이 고개 부근에는 일제강점기 때 조성된 공동묘지가 있어 여우들이 항상 들끓었다 한다.
영산 : 남세미와 삼포동 사이로 뻗어 나온 긴 산부리.
월곡고개[月谷峴] : 남세미에서 마전리 달골로 넘어가는 고개.
자강모루 : 양아내골 동쪽에 있는 산모퉁이. 시루고개에서 내려온 산부리가 이 곳에 와서 작은 모퉁이를 만들었다 하여 ‘작은모루'로 불리웠으나, 세월이 흐르면서 ‘작은'이 ‘자강'으로 어휘가 변하였다.
중들[中坪] : 법흥동 동쪽에 있는 들.
풀무골[冶洞] : 태봉 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 부근의 형상이 도가니혈에 해당되는데, 이 골짜기는 대장간에서 불을 일으키는 데 사용하는 풀무처럼 생겼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라 한다. 한국전쟁 전에는 청송 심씨(靑松沈氏)들이 마을을 이루었다.
향교골고개 : 남세미에서 마전리의 향교골로 넘어가는 고개.
향교산(鄕校山) : 마전리와 경계에 있는 산. 마전향교의 뒷산이 된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황공벌 : 마전리와 우정리를 연결하는 322번 지방도 주위에 있는 벌판. 예전에 이 곳을 지나가던 목마른 중(혹은 함경도 상인)이 샘을 발견하고 물을 마시려고 했는데, 샘물 바닥에 큰 황금덩어리가 있어서 이 벌판을 ‘황금벌'이라 했다고 한다. 그후 어휘가 점차 변하여 지금의 이름이 된 것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