연천군 왕징면 고장리
본래 삭녕군 남면의 고리동리 지역으로, 1914년 4월 1일 행정구역 폐합에 따라 인접해 있던 오장대리의 일부를 병합하여 연천군 서남면에 편입되었다. 1945년 해방과 동시에 38선 북쪽에 위치하여 공산 치하에 놓였다가 한국전쟁 후에도 휴전선 북쪽에 위치하여 현재 이북 지역에 속해 있다. 1963년 1월 1일 법률 제1178호인 「수복지구와 동인접지구의 행정구역에 관한 임시조치법」에 의거하여 왕징면에 편입된 법정리이다. 행정리와 반이 설치되지 않은 미입주지구에 해당한다.
고려울[古里洞] : 고장리 북쪽에 있던 큰 마을. 삭녕군 남면의 고리동리 지역이다.
고양대(高陽垈) : 막터골 동쪽에 있던, 고장리에서 가장 큰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전주 이씨 6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다.
당너머 : 되리뫼 동쪽, 두 집이 살던 작은 마을.
되리뫼[回山洞] : 고장리에서 가장 서쪽에 있던 마을. 마량산에서 뻗어 내린 산부리 끝을 둥글게 원을 그리며 돌아간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한국전쟁 전에는 순흥 안씨(順興安氏) 40여 호가 집성촌을 이루었던 곳이며, 지금은 북한의 선전 마을이 있다.
막터골[幕垈洞] : 마량산 동쪽에 있던 마을. 한국전쟁 전에는 전주 이씨가 15가구 살았던 곳이다.
시욱이[時郁市] : 고려울벌 동쪽, 임진강 변에 있던 마을. 삭녕군 당시 장이 섰던 곳이어서 ‘남면장거리'라고도 불리웠다.
웃말 : 약물터 아래에 있던 마을. 고양대 마을 위에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가산 : 막터골에 있는 산.
고려울벌 : 고려울 앞에 있는 넓은 벌판. 현재는 북한의 집단농장이 들어서 있다.
고장리산성(古莊里山城), 성재 : 고양대 동쪽, 산 정상에 있는 산성. 축조 연대 및 규모는 자세하지 않지만 산정부에는 테뫼식으로 쌓은 석성의 일부가 남아 있었다 한다. 지금은 휴전선과 인접한 북한의 지역이다.
고지앗 : 반골 북쪽, 쐐미개울 옆에 있는 밭. ‘앗'은 밭의 고어이다.
공동묘지 : 등제현 옆에 있는 일제 때 조성된 공동묘지.
귀룽앗 : 시욱이 서쪽에 있는 밭.
소 : 물방아터 위에 있는 소의 구유처럼 생긴 깊은 소.
금정골 : 부엉데미 북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기와골 : 은골 서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노리고지(nori高地) : 고려울 동쪽에 있는 산. 한국전쟁 당시 이 고지를 두고 치열한 전투가 벌어졌을 때 지어진 이름이다.
느릅소[楡沼] : 매봉재 동쪽, 임진강에 있는 소.
도링곁[道論傍] : 고양대 동쪽에 있는 골짜기. 마을 밖에 있는 도링곁산 때문에 지어진 이름이다.
도링곁산 : 고양대와 도링곁 사이에 있는 뾰족한 모양의 산.
독골[獨谷] : 고려울 북쪽에 있는 골짜기. 한국전쟁 전에는 한 집이 살았던 곳이다.
동뫼산, Betty고지, 김만술고지 : 시욱이 남쪽에 있는 조그만 산. 한국전쟁 때 대표적인 격전지였다.
둔지봉 : 외정자 남쪽에 있는 봉우리.
등제현(登悌峴) : 병목아지밭 북쪽에 있는 고개. ‘등드지고개'라고도 불린다. 한국전쟁 전에는 고갯마루에 큰 벗나무와 서낭당이 있었다 고 한다.
마골 : 되리뫼 서쪽에 있는 골짜기.
마량골 : 막터골 서쪽에 있는 골짜기. 마량산에 딸려 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마량산(馬良山) : 막터골 서쪽, 고잔상리와 경계에 있는 뾰족한 산. 높이 315m.
마루거리 : 새터밭 동쪽에 있는 밭.
막터골고개 : 되리뫼에서 막터골 마을로 넘어다니던 고개.
막터골 구럼 : 막터골 남쪽에 있는 골짜기.
매봉재 : 고양대 남쪽, 고잔하리와 경계에 있는 산.
매학골[梅鶴洞] : 막터골 동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
멍에아리 : 이레갈이 옆에 있는 밭.
무당소 : 신피밭 북쪽, 쐐미개울에 있는 소.
물방아터 : 고양대 동쪽, 임진강 가운데 있는 섬. 예전에 이 곳에 물레방아가 있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으로, 한국전쟁 전에는 사람이 살지 않는 곳이었다고 한다.
밤골 : 고장리 산성 북서쪽에 있는 골짜기.
방골 : 고지앗 서쪽에 있는 골짜기.
백산(白山) : 막터골 남쪽, 고장리*고잔상리*고잔하리 경계에 있는 산. 백씨 소유의 산이었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백산구럼 : 백산에서 막터골로 나 있는 골짜기.
병목아지밭 : 양지곁 북쪽, 오목한 병 모양의 골짜기 안에 있는 밭.
부군당(府君堂) : 외정자 서쪽에 있던 부군나무. 한국전쟁 전에는 큰 오리나무*버드나무 고목이 있어 매년 동짓달이 되면 마을에서 부군제를 올렸다고 한다.
부엉데미 : 느릅소 북쪽에 있는 산. 부엉이가 울면 꼭 비가 온다고 한다.
부엉이굴 : 신피밭 서쪽, 부엉이가 서식했다는 바위굴.
빈대골 : 도링곁 안에 있는 작은 골짜기.
뾰족산 : 부군당 남쪽에 있는 뾰족한 모양의 산.
상산봉(上山峰) : 등제현 동쪽에 있는 봉우리.
새터밭 : 고양대 동쪽에 있는 사흘갈이(400∼500평) 넓이의 큰 밭.
석승앗 : 고려울 남쪽, 쐐미개울 옆에 있는 밭.
수루네미[車踰峴] : 고장리에서 고잔하리로 넘어가는 고개. ‘산의 정상을 넘는 고개'라는 뜻의 지명이다.
수리채고개 : 고양대에서 방골로 넘어다니던 고개. 꼭대기의 뜻인 ‘수리'에 고개의 우리말 ‘재'가 합해져서 ‘산 정상에 있는 고개'라는 뜻의 ‘수리재'가 되었다가 다시‘수리재고개'로 불리웠으나‘재'가 ‘채'로 발음되면서 굳어진 것으로 보인다.
시욱이나루[時郁津] : 고장리와 중면 중사리의 수오동 사이에 있던 임진강 나루.
신피밭 : 고장리 산성 동쪽, 임진강변에 있는 밭. 땅이 질어 피만 심었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쐐미개울 : 고장리와 오탄리 경계에 흐르는 큰 개울.
안고양대 : 수리채고개 아래에 있는 골짜기. 고양대 마을에서 안쪽에 있다 하여 붙은 이름이다.
안산 : 매봉재 북쪽에 있는 산. 고양대 지역에서 묘 자리를 잡을 때 안산으로 삼았다 하여 붙여진 이름이다.
약물터 : 고양대 서쪽, 작은 골짜기에 있는 약수터. 한국전쟁 전까지 고양대 주민들의 기도처로 이용되었던 곳이다.
양지곁 : 매학골 동쪽, 양지바른 곳에 있는 밭.
오리번댕이 : 은골 서쪽에 있는 산등.
외정자 : 금정골 서 쪽에 있던 수령 100년의 오리나무.
용의머리 : 노리고지 남쪽에 있는 산. 등천하던 용이 이 곳에 떨어졌다 하여 지어진 이름이라 한다.
은골 : 고양대 남쪽에 있는 골짜기.
이내못 : 시욱이 북쪽에 있는 큰 못. 명주실 한 꾸러미가 다 들어가고도 남을 만큼 깊다 하며, 용이 산다고 하여 ‘용못'이라고도 불리운다.
이레갈이 : 귀룽앗 동쪽에 있는 밭. 소로 1주일간 갈아야 하는 넓이라 하여 지어진 이름이다
점말고개 : 막터골에서 고잔상리로 넘어다니던, 마량산 밑에 있는 고개.
주록골[奏祿洞] : 안산 서쪽에 딸려 있는 골짜기.
청뒤앗 : 멍에아리 옆에 있는 밭.
패네미[牌踰] : 방골 서쪽에 있는 작은 골짜기.